선사시대 미술의 시작
서양미술의 시작지는 현재의 유럽을 비롯하여 중동지역, 러시아의 서부와 남부를 기준으로 하며, 이후에는 북아메리카 지역까지 확장된다. 미술의 역사는 발견되거나 보존된 미술품을 기준으로 그 작품이 생겨난 시대적 배경과 작가, 작가의 특성 등을 고려하고 있다. 미술의 역사는 인류의 역사 그 자체이기 때문에 미술의 역사를 설명할 때 각 시대의 역사적인 사건들과 그 영향을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서양미술 역사의 시작은 고대의 기원전 4만년까지 올라가며 조각 소품과 동굴 벽 그림에서부터 시작한다. 이집트 문명 시절에는 신과 왕을 거대한 조각상으로 표현하기도 했으며 피라미드나 스핑크스와 같은 유명한 고대 건축물을 남기기도 하였다. 서양미술은 조각과 그림, 옷감에서 건축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분야를 포함하고 있으며 르네상스에 이르기까지는 종교적인 목적으로 제작된 작품들이 대부분이었다. 이후 르네상스 시대를 거치면서 서양미술은 비약적인 발전과 변화의 시기를 맞게 된다. 이후 신고전주의와 낭만주의를 위시한 근대미술이 발전하였으며, 인상주의는 모더니즘 현대미술의 시작을 알렸다. 20세기 이후 미술은 포스트모더니즘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게 된다.
선사시대 미술 역사의 시작은 분명치 않다. 기원전 4만년 전에 호모 사피엔스의 등장 이후 인류는 발전을 거듭하면서 최초의 미술 형태를 이루는 돌 조각을 만들게 된다. 기원전 3만년에서 2만 5천년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빌렌도르프의 비너스라는 조각품은 서양 미술의 역사에서 최초의 미술작품 중 하나라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고대에 만들어진 미술 작품들은 정확한 제작년도를 알기 힘들며 작가는 물론 어떤 민족이 만들었는지에 대해서도 알 수 없다. 즉, 미술의 역사는 사실상 이미 역사가 시작되고 오랜 시간이 지난 이후에서야 비로소 쓰이기 시작한 것이다. 고대의 미술 작품은 대다수가 유럽과 남부 러시아의 광범위한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으며 재료는 대부분 돌이나 짐승의 뼈를 조각한 작품과 동굴 벽에 그려진 벽화들이다. 고대에 만들어진 미술 작품들은 그 용도가 단순히 즐기기 위한 것이 아닌 종교적이거나 교육적인 이유라고 추정된다. 사람의 모습이나 들소, 야생말 등의 야생동물, 당시 사람들이 흔히 보는 모습들을 소재로 다루고 있다.
미노아 문명
미노아 문명은 기원전 3000년부터 시작되어 기원전 2000년경에는 가치나 정도에 있어서, 이집트나 메소포타미아의 문명에 뒤지지 않는 고도의 문명를 전개하였다. 이 문명은 다른 먼 곳에서 이식된 것이 아니고 크레타섬에서 스스로 생겨난 것이다. 크레타 문명은 중기 미노스 시대(기원전 2200∼1700년경)에 제1의 성기(盛期)에 달했다. 이 시대는 이집트의 중왕국 시대에 해당한다. 크노소스나 파이스토스가 세력을 확장하기 시작한 것은 이 시대이다. 계속되는 후기 미노스 시대의 제1기(기원전 1700∼1500) 내지 제2기(기원전 1500∼1400)에는 성숙한 황금시대를 맞는다.
크레타인의 사치스러운 모습은 금·은·상아·보석을 재료로 한 정교한 제품에 반영되어 있다. 바피오에서 발견된 한 쌍의 잔은 하나는 황소를 잡는 것을 표현하고, 다른 하나에는 그 사육(飼育)의 전원적인 정경이 묘사되어 있다.
크레타인은 대리석이나 청동의 큰 조각상은 만들지 않았다 하더라도 미술의 다른 분야에서 예술적 재능을 보여 준다. 벽화를 보면 그들이 자연이나 동물에 대해서 친근한 감정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남자는 허리가 얇고, 대체로 허리에 띠만을 두르고 있는 모습이다. 여자는 꼭 맞는 옷을 입었고, 그 스커트에는 이따금 꼬아 놓은 끈이나 레이스로 보이는 장식이 붙어 있다.
미케네 문명
미케네 문명은 카스피해 동북쪽의 옛땅에서, 기원전 3000년 후반에는, 이미 동·서 방향으로 나뉘었다고 생각되는 인도·유럽어족의 한 세력이 발칸 반도에 모습을 보인 것은 기원전 2000년 무렵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들은 발칸반도 남쪽으로 내려가서, 이후 약 800년에 걸쳐, 계속 또는 간헐적으로 그리스 본토로 들어온다. 그 제1차가 그리스인의 한 그룹, 아카이아인이다. 그들은 기원전 1850년경부터 그리스 본토로 남하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미노아 문명의 세계로 들어왔다. 처음에는 미노아 왕국의 세력하에 있었는지도 모르지만 계속 그 수를 증가하여 오는 아카이아인에 의하여, 얼마 후에는 미노아 왕국과의 세력 관계가 역전되었고, 지중해 대지진이 미노아 문명의 멸망에 속도를 가하였다. 기원전 1400년 무렵, 끝내는 크노소스가 멸망하였다. 그리하여 이번에는, 아카이아인이 에게해의 주인이 되었다. 미노아 문명의 잔영(殘影) 밑에, 이 아카이아인이 창조한 문명의 한 시기가 미케네 문명이다.
미케네 궁전은, 이처럼 거주 건축의 근본 형식에 있어서는, 그리스적인 특징을 나타내지만, 일반적으로 보면, 여기서도 크레타 미술에서 강한 영향을 받았다. 특히 건축의 세부(細部)나 내부의 장비(裝備)는 크레타 미술을 모방한 점이 많다. 무인다운 강건한 왕후들도 차츰 주거(住居)의 쾌적성을 충분히 즐기게 되었다. 그들은 기분이 좋은 거실이나 욕탕의 설비를 갖추고, 그들은 넓은 방을 좋아하는 벽화로 장식했다. 따라서 미케네 성(城)의 실내는 크레타의 궁전을 닮은 셈이다. 그런 경우, 회화에 있어서 미케네의 요소와 크레타의 요소가 결합했다고 하겠다.
미케네적 특색은 특히 건축물에 잘 나타나 있다. 미케네의 궁전은 크레타의 것과 같은 관(館)이 아니고 언덕 위에 쌓아 올린 거대한 성(城)인 것이다. 미케네나 티린스의 산성(山城)이 그 대표적인 예다. 성 입구에서 차례로 통로를 더듬어 궁전의 깊숙한 곳에 들어가면, 귀중품의 배치나 구조에 있어서 미케네인은 고유의 풍습을 지키고 있다. 가장 특색이 있는 것은, 앞뜰을 가진 메가론(megaron)을 채용한 것이다. 메가론이란 것은 그리스어로 '넓은 방'이란 뜻이며, 본래는 원시 그리스의 주거였다. 소위 '남자의 크고 넓은 방'의 평면도는, 안으로 깊이 들어가는 사각형으로서 현관 다음에 전실(前室)이 있고, 그 뒤에 커다란 주실(主室)이 있다. 주실 중앙에는 난로가 설치되어 있다.
'미술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양미술의 역사-르네상스 미술2 (0) | 2022.06.23 |
---|---|
서양미술의 역사-중세 미술 (0) | 2022.06.22 |
서양미술의 역사-헬레니즘 미술 (0) | 2022.06.20 |
서양미술의 역사-신화시대 미술 (0) | 2022.06.20 |
서양미술의 역사-이집트 미술 (0) | 2022.06.18 |
댓글